지그메 왕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그메 왕축은 1905년에 태어나 1952년에 사망한 부탄의 국왕이다. 그는 1926년 부친 우껜 왕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내부 건설과 인프라 구축에 힘썼다. 그는 학교를 설립하고 종과 사원을 보수했으며, 법률 행정을 개선했다. 대외적으로는 고립주의를 유지하면서 영국령 인도와 우호 관계를 유지했으며, 인도의 독립 이후 1949년 인도와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맺었다. 지그메는 말년에 병으로 인해 궁술 연습에 전념하다가 사망했다. 그는 두 명의 부인 사이에서 다섯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의 군주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부탄의 군주 - 드루크걀포
드룩걀포는 부탄의 국가원수이자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 헌법에 따라 종교와 정치를 아우르는 체제의 중심이며, 주요 정부 관리를 임명하고 국군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외교, 훈장 수여, 사면 등의 왕실 특권을 행사한다. - 왕축가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왕축가 - 지미 싱게 왕축
지그메 싱예 왕축은 부탄의 제4대 국왕으로, 국민총행복지수를 중시하는 통치 철학을 제시하고 국가 현대화와 전통 문화 보존에 힘썼으며, 민주화를 이끌고 국제 사회에서 부탄의 위상을 높였다. - 부탄의 불교도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부탄의 불교도 - 지미 싱게 왕축
지그메 싱예 왕축은 부탄의 제4대 국왕으로, 국민총행복지수를 중시하는 통치 철학을 제시하고 국가 현대화와 전통 문화 보존에 힘썼으며, 민주화를 이끌고 국제 사회에서 부탄의 위상을 높였다.
지그메 왕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지그메 왕축 |
로마자 표기 | Jigme Wangchuk |
부탄어 표기 | འཇིགས་མེད་དབང་ཕྱུག |
티베트어 표기 | w’jigs med dbang phyug |
통치 | |
칭호 | 부탄 용왕 |
즉위일 | 1926년 8월 26일 |
퇴위일 | 1952년 3월 30일 |
대관식 | 1927년 3월 14일 |
이전 군주 | 우겐 왕축 |
다음 군주 | 지그메 도르지 왕축 |
가계 | |
왕가 | 왕축 왕조 |
아버지 | 우겐 왕축 |
어머니 | 츤두에 페마 라모 |
배우자 | 푼초 초덴 페마 데첸 |
자녀 | 지그메 도르지 왕축 초키 왕모 왕축 공주 남걀 왕축 왕자 데키 양좀 왕축 공주 페마 초덴 왕축 공주 |
생애 | |
출생일 | 1905년 |
출생지 | 틴리 랍텐 궁전 |
사망일 | 1952년 3월 30일 |
사망지 | 트롱사 현, 쿠엔가 랍텐 궁전 |
매장지 | 쿠르제 사원에서 화장 |
종교 | |
종교 | 불교 |
2. 생애
지그메 왕축은 1905년 아버지 우겐 왕축과 어머니 아시 첸두 라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1년 17세에 톤사 도니예에 임명되었고, 18세에 부탄의 왕두초린 궁전에서 아시 푼초 초덴과 결혼했다. 1926년 21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1933년 대영박물관 식물학자 2명에게 부탄 동부 지역 입국을 허가하는 등 쇄국 정책을 완화했고, 1947년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아 관계 회의에 참가했다. 1948년 인도 독립에 따른 부탄 관계 협의를 위해 대표단을 파견했다.
1949년 8월 8일 부탄과 인도는 다르질링에서 푸나카 조약을 계승하는 형태의 인도-부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는 "인도는 부탄 내정에 간섭하지 않지만, 외교 문제에 대해서는 조언을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부탄은 인도와 특수한 의존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후 양국 관계는 경제 발전 관계로까지 확대되었다.
2. 1. 초기 생애
지그메 왕축은 1905년 왕두 포드랑 구역의 틴리 랍텐 궁전에서 태어났다. 왕데콜링 궁전에서 영어와 힌디어를 배우고 종교 교육을 받았다.[2] 우껜 왕축의 장남인 지그메는 아버지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1923년 트롱사 펜롭 칭호를 받았다.[3] 1921년 17세에 톤사 도니예(吞萨·多尼)에 임명되었고, 18세에 부탄의 왕두초린 궁전에서 아시 푼초 초덴(阿氏·朋措·措登)과 결혼했다.2. 2. 재위
지그메 왕축은 1926년 아버지 우꼐엔 왕축이 서거한 후 왕위에 올랐으며, 1927년 3월 14일 푸나카에서 공식 즉위식을 거행했다.[4] 그는 국내 건설과 기반 시설 확충, 그리고 법률 행정에 힘썼다. 대외적으로는 고립주의를 유지하면서도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1952년 건강이 악화되어 트롱사의 꾸엥가랍텐 궁전에서 사망했다.[12]2. 2. 1. 국내 정책
지그메 왕축은 1926년 아버지 우꼐엔 왕축이 서거한 후 왕위에 올랐으며, 1927년 3월 14일 푸나카에서 공식 즉위식을 가졌다.[4] 그는 주로 국내 건설과 기반 시설 확충에 힘썼다. 예를 들어, 부탄 동부의 종과 사원들을 보수했으며,[5] 국가 내 여러 학교를 설립하고 보수했다.[6] 또한 트롱사의 꾸엥가랍텐 겨울 궁전을 비롯해 삼드룹초링과 돔카르에 여러 왕실 거주지를 건설했다.[7]지그메 왕축은 도로 개선 및 의료 시설 현대화와 같은 다른 기반 시설 프로젝트에도 관심이 있었지만, 자금 부족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없었다.[8] 그는 부탄 법률 행정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살인을 제외한 모든 범죄에 대한 사형을 억제하고, 시민들의 사법 수수료를 줄였으며, 시민들이 하급 관리들의 판결에 대해 자신에게 항소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9]
2. 2. 2. 대외 관계
지그메 왕축의 대외 정책은 기본적으로 고립주의를 유지하면서도, 영국령 인도와의 우호 관계를 이어가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에는 영국령 인도에 10만 루피를 보내 우호를 표시했고, 그 대가로 영국령 인도는 서구인들의 부탄 방문을 제한하여 부탄의 고립을 보호했다.[10]인도 독립 이후, 지그메 왕축은 인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을 위해 사절단을 파견했다. 이 회의는 1949년 우호 조약 체결로 이어졌는데, 이 조약에서 부탄은 인도가 자국의 대외 정책을 "지도"하는 데 동의했다. 조약에는 인도가 부탄에 연간 보조금을 지급하고 데왕기리의 약 82.88km2 토지를 부탄에 넘겨준다는 내용도 포함되었다.[11]
1933년에는 대영박물관 식물학자 2명에게 부탄 동부 지역 입국을 허가하는 등 쇄국 정책을 일부 완화하기도 했다. 1947년에는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아 관계 회의에 참가했고, 1948년에는 인도 독립에 따른 부탄 관계 협의를 위해 대표단을 파견했다.
1949년 8월 8일, 부탄과 인도는 다르질링에서 푸나카 조약을 계승하는 형태의 인도-부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는 "인도는 부탄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지만, 외교 문제에 대해서는 조언을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부탄은 인도와 특수한 의존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후 양국 관계는 경제 발전 관계로까지 확대되었다.
2. 2. 3. 사망
1952년 초, 지그메는 병이 들었고, 자신이 죽을 것이라는 징조를 목격했다. 그는 남은 날들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취미 중 하나인 궁술 연습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그의 상태는 이 기간 동안 악화되었고, 10일 후에는 궁술을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병이 들었다. 그는 트롱사의 꾸엥가랍텐 궁전으로 은퇴하여 1952년 3월 30일에 사망했다.[12]3. 자녀
지그메 왕축은 두 명의 사촌 누이인 아시 푼초 초덴과 아시 페마 데첸 사이에서 다섯 자녀를 두었다.
부인 | 자녀 |
---|---|
아시 푼초 초덴 | 지그메 도르지 왕축 |
아시 페마 데첸 | 초키 왕모 왕축 공주 |
남걀 왕축 왕자 (파로 구역의 제26대 펜롭) | |
데키 양좀 왕축 공주 | |
페마 초덴 왕축 공주 |
초키 왕모 왕축 공주는 데키 초덴과 소남 율걀 두 딸을 두었다.
페마 초덴 왕축 공주는 남덴, 다쇼 남걀 다와, 다쇼 왕첸 다와, 다쇼 레온 랍텐 네 자녀를 두었다.
데키 양좀 왕축 공주는 라젠 니잘 리카, 다쇼 지그메 남걀, 다쇼 왕축 도르지 남걀, 이왕 핀다리카, 남자이 쿠무타, 고 아시 데첸 여섯 자녀를 두었다.
4. 훈장
지그메 왕축은 다음과 같은 훈장을 받았다.
훈장 종류 | 훈장 | 수여 일자 |
---|---|---|
국내 훈장 | ![]() | 1909년 11월 17일 |
국외 훈장 | 1930년 6월 3일[13] | |
-- | 1927년 3월 11일[14] | |
![]() | 1911년 12월 12일 | |
![]() | 1935년 5월 6일 | |
국외 훈장 | ![]() | 1937년 5월 12일 |
4. 1. 국내 훈장
4. 2. 국외 훈장
Order of the Indian Empire|인도 제국 훈장영어 명예 훈장(KCIE) 수훈 (1930년 6월 3일).[13]델리 황제 대례 은메달 수상 (1911년 12월 12일).
조지 5세 은혼식 기념 메달 수상 (1935년 5월 6일).
조지 6세 즉위 기념 메달 수상 (1937년 5월 12일).
5. 가계도
གཞིས་ཀ་དབང་ཕྱུག་|지그메 왕축bo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1]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
1. 지그메 왕축 | 2. 우껭 왕축 | 4. 지그메 남걀 (10대 통사 펜롭 겸 48대 드룩 데시) | 8. 필라 곤포 왕얄 |
9. 소남 페조옴 | |||
3. 츠운두 페마 라모 | 5. 페마 초키 | 10. 우껭 푼초 (8대 통사 펜롭) | |
11. 린첸 펠모 | |||
6. 쿤장 틴레이 (팀푸 쫑폰) | 12. 둥카르 겔첸 (11대 통사 펜롭) | ||
13. (공란) | |||
7. 상가이 드롤마 | 14. 켄초 왕두 | ||
15. (공란) |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bhutancu[...]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뉴스
null
http://www.london-ga[...]
1930-06-03
[14]
뉴스
Central Chancery of the Orders of Knighthood
http://www.london-ga[...]
1927-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